전문가 자료실
심리상담 : 경계선성격 내담자의 Fairbairn적 관점
  • 작성자 : 비움심리상담
  • 작성일 : 2017-06-25
  • 조회 : 3679

내적 세계에의 과도한 집중

 

Fairbairn은 경계선 환자들이 겉으로 보기에는 필사적으로 의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관찰해보면 그들의 내적 세계는 근본적으로 외부 대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러한 성인들은 자신의 내적 세계를 어린 시절의 발달과 같은 것으로 경험하는데, 즉 그들의 현재 대상관계로부터 결코 만족을 느끼거나 깊은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들은 무차별적으로 번갈아가며 대상을 추구하는데, 이는 경계선이 현실의 대인관계보다 내부의 공허감에 반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 대상은 박탈당한 개인에게 필요한 것을 가져다주는 것으로만 가치를 인정받는 “부분 대상”으로 경험된다. 경계선의 내부 세계는 수많은 과거의 유기로 인한 결과이므로, 그들은 새로운 (좋은) 대상을 함입하기가 조심스럽고, 바깥세상의 현실보다는 자신의 내부에 과도한 관심을 쏟는다. 

 

부분 대상의 관점에서 본 경계선의 다른 사람들과의 경험

 

Fairbairn은 유아가 더 박탈을 당할수록 그만큼 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대상의 부분에 집중한다는 점을 알아냈다. 바로 가슴이다. 따라서 대상을 부분대상으로 경험하려는 경향성은 박탈의 결과이다. 반면에 충분히 만족한 아이는 자주 충족감을 경험하기 때문에, 자신의 요구를 옆으로 제쳐두고 대상을 좀 더 완전하게 경험할 수 있다. Fairbairn은 또한 많은 환자들이 “초기의 구강기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했는데, 이는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대상의 성격에 대한 인식이 없는 욕구 태도를 나타낸다.

 

Dunlap은 조용하고 비반응적인 부모 밑에서 자랐고, 혼자서 글을 쓰면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나중에 유명한 시인이 되었으나 여러 사람을 전전하며 상호 착취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문학적 재능을 낭비했다. 3년간 지속된 한 관계에서는 파트너가 장기간 유럽을 여행하는 동안 그녀의 농장에서 말을 돌보아야 했다. 그는 말을 싫어했고 농장에 시간을 뺏기는데 분개했다. 그와 파트너의 관계는 완전히 부분대상관계였고, 그에게 필요한 것은 그 사람이 아니라 머물 집이었던 것이다. 상담이 진행되면서 그는 파트너를 떠났지만 상담가를 의미있는 방식으로 내면화 하는데는 실패했고, 결국 그 관계 이전의 혼란스러운 여성에게 되돌아갔다. 

 

거절하는 대상에 대한 뿌리 깊은 고착

 

Fairbairn의 첫 번째 논문(1940)에서도 그나 그녀의 대상에게 거절당한 경험이 있는 아동의 반응을 열거했는데, 거기서 아동은 요구에 응해주지 않은 대상에게 더 부착하고 있었다. 대상의 냉담함은 아동이 그 대상에게 고착하게 한다고 그는 묘사했다 : “박탈과 열등감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어, 그들은 어머니에게 깊게 고착된 채로 있게 된다”(1940, p. 23). 학대의 생애는 강화된 요구(needs)와 거절하는 대상에게 부착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 같지는 않다. 이러한 부착은 종종 경계선(환자)가 결함이 많은 대상 뒤에서 사랑을 구하게 한다. 다음의 어머니에 의해 너무 미움을 받아 (그 딸)은 그 집에서 영원히 저주받은 한 여인의 극단적인 한 예이다. 그녀의 어머니가 그녀와 접촉을 허용하는 유일한 투쟁무대는 그들이 종종 함께 저녁식사를 하는 레스토랑에서이다. 학대와 거절의 생애임에도 불구하고, 그녀(그 딸)의 생일날, 이“성인”여인은 값비싸고 정성들인 꽃꽂이를, 그녀를 낳아준데 대한 선물로, 그녀의 어머니에게 보냈다.

경계선(환자)들은 그들을 거절하는 대상 때문에 그들의 요구가 강렬한 듯 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환자들은 그들의 요구를 억압하고 대상의 요구에 순응함으로서 거절하는 대상에게 매달리려 한다고 보고한다. 이 역동은 사랑받지 못한 딸이 그녀를 낳아준 것을 위해 그녀의 어머니에게 꽃을 샀던 이전 한 예에서 나타난다. 그녀의 요구는 어머니의 요구에 응해야 결국 받아들여지게 된다는 기대에 억압되었었다. 이 전략은 좌절시키는 대상이 의존적인 경계선(환자)를 거절할 때 대단한 위협이 되는데, 결과로 일어나는 분노가 너무 위험해서 요구되는 대상에게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만약 그것이 이미 사랑하지 않는 대상을 향한다면, 유기가 따라오기 쉽다. 매우 자주, 그때 그 분노는 자신을 향하게 되고, 더구나 개개인의 성적 능력과 가치에 대한 느낌을 감소시킨다.

 

그들은 단지 그들 자신의 강한 요구를 억제하고 다른 사람의 요구에 보조를 맞출 수 있다면, 어떠한 개인적인 복종에 대한 대가를 치르더라도, 관계(relationship)는 소망(hope)을 나타내는 듯하다. 이 소망이 충족되지 않을 때, 좌절과 굴욕으로 인해 일어나는 분노는 완전히 억제되거나, 불안이나 신체증상으로 변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으로 빗나가게 되거나, 알다시피, 충분히 따르게 하거나 너무 많이 원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을 향하게 된다

[Armstrong-Perlman,1991,p.345]. 

 

The Treatment of The Borderline Patient -중에서 발췌-

 

대전심리상담, 대전부부상담, 대전심리상담센터, 대전가족상담,대전심리치료, 세종심리상담, 대전청소년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