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자료실
심리상담 : C 군 성격장애 2-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 작성자 : 비움심리상담
  • 작성일 : 2017-04-02
  • 조회 : 5718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회피성 성격 장애는 다른 사람과의 만남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 때문에 사회적 상황을 회피함으로써 적응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로,  타인으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받는 것에 대해 과도하게 예민하며 사회적 상황에서 지나치게 감정을 억제하고 부적절감을 많이 느끼게 되어 대인관계를  회피하는 성격장애를 말한다.

 

1. 진단기준

사회활동의 제한, 부적절감 그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과민성 등이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고, 여러 가지 상황에서 나타나며, 다음의 4개(또는 그 이상) 항목을 충족시킨다.

 

(1) 비난, 꾸중 또는 거절이 두려워서 대인관게가 요구되는 직업활동을 회피한다.

(2) 호감을 주고 있다는 확신이 서지 않으면 상대방과의 만남을 피한다.

(3) 창피와 조롱을 당할까 두려워서 친밀한 관계를 제한한다.

(4) 사회상황에서 비난당하거나 거부당하는 것에 사로잡혀 있다.

(5) 부적절감 때문에 새로운 대인관계 상황에서는 위축된다.

(6) 자신을 사회적으로 무능하고 개인적 매력이 없으며, 열등하다고 생각한다.

(7) 당황하는 모습을 보일까봐 두려워서 개인적 위험이 따르는 일이나 새로운 활동에는 관여하지 않으려 한다. 

 

 

1. 임상적 특징

- “능동적-이탈적” 성격유형으로, “정상적인 억제적 성격”의 병리적 형태

- 세상과 떨어져 은둔하려는 경향 → 자신이나 타인에게서 강화를 얻지 못함

- 자존감이 매우 낮음 → 대인관계에서 모욕과 거부를 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 → 대인관계

회피 → 소외감, 외로움

- 사회공포증과 매우 유사. 그러나 회피성 성격장애의 회피는 보다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며 분명한 유발인자가 없고, 일정한 경과를 보인다는 점에서 구분됨

 

① 행동양상

- 수줍음, 걱정이 많고 늘 조심스럽고 불안해 함

- 사회적 상황에서 어색해하고 불편해 하며 대인관계에서 쉽게 위축

- 회피적이며 쉽게 상처 받음

- 말은 느리고 어색하며 사고의 흐름이 자주 끊어지고, 때론 주제에 벗어난 엉뚱한 얘기 함

- 대체로 경직되고 소극적인 행동을 보이나, 갑자기 안절부절못하거나 불안정한 행동을 함

 

② 대인관계

- 대인관계를 아주 싫어하거나 아예 접촉을 끊어 버리기도 함

-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싶은 욕구는 있으나, 상대방이 자신을 무시하거나 거절할 것 같 은 두려움이 많음

   → 대인관계 회피 → 심한 경우, 사회적 격리 혹은 철수하기도

- 사회적 격리나 철수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데서 발생

 

③ 인지양식

- 산만, 이해하기 힘듦

- 환경에 대한 지나친 과민성 → 인지과정에 영향 → 불필요한 정보의 홍수, 정서적 부조화 경험

- 정신 내적 조직 매우 허약하여 붕괴되기 쉽고, 붕괴되면 퇴행적인 모습이 나타나기도 함

 

④ 정서표현

- 우울감이 기본 정서

- 괴로워하거나 지나치게 긴장

- 감정은 내부에 쌓아 두었다가 환상과 상상의 내적 세계에서 발산하곤 함 → 음악, 시, 일기의 형식으로  표출되기도 함

 

⑤ 자기지각

- 내성적, 자의식적인 경향

- 자신의 정체성이나 자기 가치감을 확신하지 못하는 경향

- 자존감 부족, 자신의 성취를 평가절하

- 스스로를 소외되어 있고 불행하고 공허한 사람으로 여김

 

⑥ 주요 방어기제

- 환상(fantasy)을 주로 사용

- 환상 : 현실에서 충족시킬 수 없는 욕구와 소망을 만족시켜 주는 상상의 반의식적 과정.

현실에서 성취하기 어려운 애정욕구, 공격성, 기타의 충동들을 방출시키는 안전한 매개체 역할

 

2. 원인

① 생물학적 요인

- 교감신경계의 역치가 낮음, 위험에 대한 과도한 생리적 민감성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

   따라서 미래의 위험이나 처벌 같은 부정적 결과가 예상될 때 생리적으로 교감신경계의 흥분이 유발된다.

 

 정신역동적 입장

- 출생 후 성장과정에서 관계경험들이 축적되어 수치심으로 발전

- 아동기에 가족과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지속적이고 강한 거부 경험 교감신경계의 흥분이 유발됨

- 가족에게서지지 받은 아이도 또래집단에서의 거부는 치명적인 영향- 회피성 성격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



대전심리상담, 대전부부상담, 대전심리상담센터, 대전가족상담,대전심리치료, 세종심리상담, 대전청소년상담